본문 바로가기
재태크
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및 신청기간, 한 눈에 자세히 알아보기

by guide-jery 2023. 4. 14.

 

이번 포스팅에서는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위한 금융 상품인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조건, 신청기간, 어떻게 얼마를 모을 수 있는지 자세하지만 간단하게 알아볼 수 있도록 정리해 보았습니다.

썸네일


1. 청년도약계좌

청년들의 중장기적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되는 정책입니다.
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.
▶매월 70만 원 내에 납입 가능
5년 만기 적금
▶만기 시 최대 약 5000만 원 정도 마련 가능
▶이자 소득에는 비과세 혜택
▶이자는 가입 후 3년 고정금리,
이후 2년 변동금리
로 적용됩니다.
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


2.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

2023년 6월부터 신청 가능합니다.
모바일 앱을 통해 2023년 12월까지 매월 신청 가능합니다.
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


3.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

만 19세 ~ 만 34세입니다.
▶병력이행기간(최대 6년)은 적용 안됩니다.
▶만기 시 연령대상이 아니더라도 계좌유지 가능합니다.
▶가구소득 기준: 중위 180% 이하

[2023년 중위소득 표 바로가기]

▶소득조건: 개인 소득 7,500만 원 이하
▶개인소득 6,000~7,500만 원은
비과세 혜택만 적용
▶개인소득 6,000만 원 이하는
정부기여금+비과세 혜택 적용
▶22년 소득기준(확정 전까지 21년 기준)
▶가입일로부터 1년마다 자격심사(소득변경적용)
▶청년희망적금 중복 가입불가

 청년내일저축계좌, 청년희망적금, 채움공제 등
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


4. 정부 기여금 한도

개인소득 기준으로 기여금 한도가 정해집니다.
개인소득 4,800만 원 이하인 경우 월 납입금이 70만 원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정부 기여금을 모두 수령할 수 있도록 기여금지급한도가 있습니다.

개인소득 기여금 한도(월)
2,400만원 이하 최소 40만원 납입 시 2.4만원
3,600만원 이하 최소 50만원 납입 시 2.3만원
4,800만원 이하 최소 60만원 납입 시 2.2만원
6,000만원 이하 최소 70만원 납입 시 2.1만원
7,500만원 이하 기여금 해당 없음
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


5. 적금 만기 시

다음은  개인소득 3,500만 원일 경우 계산입니다.
①월 70씩 5년간 납입 시
원금 = 70만 원 x60개월 = 4,200만 원
② 정부 기여금
2.3만 원 x 60개월 = 138만 원
③연 이자(예상 5%) = 537만 원

①+②+③ = 4875만 원
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


6. 중도해지

해지 사유가 특별중도해지 요건에 해당되면 본인 납입금 외 정부기여금+비과세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특별중도해지 요건
가입자의 해외이주 or 사망
가입자의 퇴직
사업장의 폐업
전재지변
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
생애최초 주택구입

단, 일반적인 중도해지일 경우 본인이 납입한 원금만 지급됩니다.
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


청년도약계좌 관련 Q&A는 아래 바로가기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!

[청년도약계좌 Q&A 바로가기]


댓글